[성인간호]신경외과 중환자실 NSICU 실습일지

목차

1. 해당 병원, 병동에서 적용되는 기본 검사 및 특수검사의 진행과정, 검사 전후 간호에 대한 교육과 실습
2. Duty 별 Nursing Practice 관찰 및 수행

본문내용

1. 해당 병원, 병동에서 적용되는 기본 검사 및 특수검사의 진행과정, 검사 전후 간호에 대한 교육과 실습
< 정신 상태 검사(mental status tests) >
정신상태 검사는 의식 수준 측정, 방향 감각( 사람, 장소, 시간), 기분 및 정서 반응, 기억력(최근 혹은 과거), 언어(말하고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사고의 내용, 그리고 정신력을 포함한다.
의식 수준 측정은 신경계 대상자에게 매우 중요하며 그 방법으로는 시각, 청각적인 자극 을 주고 이에 대한 반응을 보거나 또는 통각, 압각 자극을 주고 그 반응을 볼 수 있다. 또한 활력 증상 측정 및 반사 작용 관찰도 필요하다. 의식 수준은 정상에서 혼수까지 5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 1단계: 정상적인 의식 상태(alert)
– 2단계: 경면(somnorence), 혹은 기면(lethargy)
– 3단계: 혼미(stupor)-강력한 자극 반응, 간단한 질문을 하면 한 두 마디 단어로 대답을 하기도 한다.
– 4단계: 반혼수(semicoma)-어느 정도 고통스런자극을 주었을 경우 피하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때로 신음소리를 내거나 말을 중얼거리기도 한다.
– 5단계: 혼수(coma)-모든 자극에 반응이 없다.
* GCS (Glasgow Coma Scale)
GCS는 눈을 뜨는 행위, 언어반응, 운동반응의 3가지 평가항목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에 따라 4~6단계로 나누고 평가 합계에 의해 의식수준과 의식장애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GCS로 최저3점은 심한 혼수, GCS로 7점 이하는 혼수에 속하고 9점 이상은 혼수의 범주에 서 제외된다. GCS 15점은 환전한 의식 명료 상태이다.

관찰 항목
­ 눈을 뜨는 행위
–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4)
– 부르면 눈을 뜬다 (3)
– 통증을 주면 눈을 뜬다 (2)
– 눈을 전혀 뜨지 않는다 (1)
­ 최대 언어 반응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