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생리학/ A+받은과제 / 5페이지 이내 교재 요약 과제 (심장, 호흡) / 자료조사, 요약정리, 문헌고찰, 교과서(교재, 필기) 정리 / 레포트

목차

1. < 심 장 >
[1] 심장의 특성
[2] 심장주기 (심장박동수 – 분당 약 70회)
[3] 심장기능의 조절
[4] 심장기능의 측정
[5] 심전도
[6] 부정맥

2. < 호 흡 >
[1] 호흡계의 구조
[2] 허파환기
[3] 가스교환과 가스운반
[4] 호흡조절

본문내용

– 특수전도계 : 강하고 율동적이며 규칙적으로 수축. 굴심방결절에서 발생한 활동전압을 심방과 심실로 전도해주는 특별세포.
– 심장근육 : 뼈대근육에 비해 수축기간이 긴 것이 특징임. 심장근육에 비해 수축 섬유의 분포가 적고 수축력도 약하지만 활동전압의 전도속도는 매우 빠른 조직.
(1) 심장근육의 구조적 특성 – 가로무늬 있고 제대로근(불수의근) 이다.
– 사이원반(개재판) : 심장근육세포 사이의 물질이동을 쉽게함 전기전도도가 매우 높음. 1개의 심장근육세포가 흥분하면 모든 심장근육세포가 거의 동시에 흥분. 하나의 세포로 구성된 결합체와 같이 수축함 (기능적 결합체)
– 막 : 이온이 잘 통하지않는 섬유조직. 심방의 활동전압이 직접 심실로 전도되지 못함. 방실결절(AV node)라는 별도경로전달
(2) 심장근육 세포의 활동전압 (0기~4기 까지 나눌 수 있음)
– 0기 : Na+ 의 유입으로 탈분극 진행/ – 1기 : K+ 의 일시적 외향전류(세포외유출)로 급속하고 짧은 재분극이 타나남
– 2기 : Ca2+ 의 내향전류로 막전압에 고원부가 나타남 /- 3기 : Ca2+ 의 내향전류 차단되고 K+ 외향전류로 급속히 재분극됨
– 4기 : 막전압이 안정막전압 상태로 돌아가는 시기.
– 고원부(2기) : 탈분극 기간을 유지할 수 있게 함. 연속적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 수축시간이 약 15배 뼈대근육보다 더 길다.
– 탈분극기가 긴 원인은 세포막 투과도가 다르기 때문. 뼈대근육 -가시전압 형태 / 심장근육 L형 Ca2+통로가 열려 Ca2+가 세포안으로 유입 되어 2기 고원부를 형성함.
(3) 심박조율기전압 (안정기의 느린 탈분극) – 방실결절은 심장전도장애가 있을 때 심박조율기 역할을 담당함.
– 굴심방결절과 방실결절 에서 발생하는 활동전압의 형태는 심박조율기전압의 파형을 특징적으로 나타냄.
– 굴심방결절이 심방과 심실의 규칙적, 자발적 수축을 관장함. 또한 심장박동을 지배하는 자율신경의 영향을 받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