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사람들의 삶'을 대표할 수 있는, 여러 문화 요소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주 해녀의 개념과 역사
2. 제주 해녀 문화
3. 제주 해녀 문화의 전승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제주도는 한반도 남쪽에 위치한 가장 큰 섬으로, 예로부터 돌이 많고, 바람이 많고, 여자가 많아 삼다도(三多島)라 불렸다.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용암이 식으면서 형성된 현무암이 많고, 바람은 한반도에서 태풍을 가장 먼저 만나는 위치이면서,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아 일기가 자주 변화하며 바람이 많이 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여자가 많은 이유는 섬에서 생계를 꾸려가기 위해서 농사도 짓지만 어업을 주로 하게 되는데, 생계를 위해 조업을 나간 남성들이 바다에서 사고로 목숨을 잃으면서 여성의 인구가 늘어났고, 여성들이 가장의 역할을 떠안으며, 밭일, 가사일, 물질까지 겸하게 되었다. 이런 까닭에 해녀는 근면성실하고 강인한 제주 여성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해녀는 제주도에서만 발견되는 여성이 모태인 전문직업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잠수장비 없이 맨몸으로 바다 깊숙이 잠수하여 전복, 성게, 조개 등을 채취하는 사람이다. 해녀들은 바다 속 생태계를 잘 알고 있으며, 1분 이상 잠수하며 수영할 수 있지만 바다의 속성을 잘 알기에 절대로 혼자 활동하지 않으며 해녀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물질을 나간다. 해녀공동체는 단순히 근로활동공동체를 넘어선 지역공동체이며 문화공동체이기도 했다. 해녀문화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6년 유네스코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재 제주 해녀의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며 70대가 평균일 정도로 심각한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기도 하다.
본론에서는 제주도의 유서 깊은 여성 전문직업인 해녀와 제주도의 지역공동체의 중심이 된 해녀문화와 그 역사에 대하여 조사하고 해녀인구 감소 속에서 해녀문화 전승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제주 해녀의 개념과 역사
해녀는 잠수장비 없이 무명천으로 만든 물소중이(수영복)만 입고 바다에 들어가 잠수하여 여러 가지 어패류를 채집하여 경제활동을 해온 제주 여성들로..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