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경 관련 사건
1. 라돈
2. 사례
Ⅱ. 정책분석 및 실천방안
1. 환경 관련 정책
2. 추진방향
3. 추진과제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 라돈이란?
–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가 폐암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 규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토양, 암석 중에 천연석으로 존재하는 우라늄이 몇 단계의 방사성 붕괴를 거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호흡을 통해 인체에 흡입되어 폐조직을 손상시키며 흡연에 이어 폐암 발병이 큰 물질이다.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85%는 자연방사성물질에 의한 것이고 그중 50%가 라돈에 의한 것이다. 라돈의 단위는 베크렐(Bq, Becquerel) 인데 1초동안 방사선 1개가 핵에서 1번 방출되는 것, 즉 1초 동안 한 번의 방사성 붕괴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방사성물질이 원래 개수의 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half-life)라고 하는데, 라돈이 붕괴하여 안정된 상태까지 연쇄 붕괴과정을 거치는 시간은 3.82일이 걸리며, 라돈이 인체에 위해성을 주는 것은 공기 중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많아 다른 자연방사선원에 비해 피폭 기여도가 높기 때문이다. 호흡을 통해 체내에 노출되면 흡착하여 방출되는 α-에너지를 주변의 조직에 부여해 장기적으로 폐암을 유발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