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최근 범죄를 다루는 기사와 방송 프로그램 묘사
2. 잔혹한 범죄의 원인을 범죄자 개인의 본성 또는 도덕적 문제로 돌리는 방식에 대한 비판
3. 사회적 측면에서 범죄를 다루었을 때의 장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오늘날 범죄 문제는 그 양상이 매우 흉악해지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서 등장을 하고 있다. 사회구조의 복잡화 그리고 위기와 갈등 등으로 인해서 범죄 혹은 일탈 문제가 증가하고 점차 흉악해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는 범죄 혹은 일탈의 예방과 방지를 위하여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사용하고 있고, 시민의 안전한 생활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법은 정부가 강제하는 형식적인 사회 규칙이고 이러한 법을 위반한 행위를 범죄라고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는 사회구성원들이 지켜지기를 강하게 원하는 규범과 가치를 파괴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을 하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 사회가 발전하며 국민소득이 향상될수록 사회의 갈등요인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범죄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바라지만, 오히려 범죄가 증가하고 범죄의 양상도 사회발전과 더불어 더욱 전문화, 다양화되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론에서는 교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자료들을 참고하여서 최근 범죄를 다루는 기사나 방송 프로그램들이 어떤 유형의 범죄를 어떤 방식으로 다루는지에 대해 묘사해보고, 잔혹한 범죄에 대한 원인을 범죄자 개인의 본성 혹은 도덕적인 문제로 돌리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서술한 후에, 사회적인 측면에서 범죄를 다루었을 때의 장점에 대해 서술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최근 범죄를 다루는 기사와 방송 프로그램 묘사
현대 사회에서 범죄는 사람들의 삶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며 심화되는 범죄적 양상으로 인해 사람들의 범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자세해지며 정교해지고 있다. 각종 매체에 등장하는 프로파일러, 범죄 전문가들의 이야기들이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고, 어떠한 범죄가 발생하였을 때, 그것에 대한 분석도 넘쳐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사회현장으로까지 바라볼 수 있는 범죄에 대한 시각은 아직 개인의 심리가 가지고 있는 문제 또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벌어지는 일 등으로 해석이 되며, 이해하기 어려운 흉악범죄에 대한 이와 같은 해석들은 사람들의 불안함으로서 종종 개인 인성의 문제 등으로 설명되곤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