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청소년’이라는 말에는 청소년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2. 학교 밖 청소년 용어 대체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소년기는 아동기로부터 성인기로 가는 과도기적 단계로 심리적, 신체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그러나 현재 청소년의 비행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고 청소년의 범죄와 학교 부적응, 가출과 심한 경우 자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슈들이 지속적으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2022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교를 그만둔 청소년은 고등학교 시기 약 6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초등학교 시기도 16%에 달해 충격을 주고 있다. 또한 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하는 청소년도 41%에 달하지만 동시에 59%는 학교를 그만둔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이 비율은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은 학교를 그만둔 이후 사회의 선입견과 편견, 무시와 진로 찾기의 어려움 등을 토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회로부터의 비행 청소년이라는 낙인은 청소년의 사회적, 심리적 적응 문제와 밀접히 관련을 가지고 있어 이를 신속히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는 청소년들이 자아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시기로 청소년들은 주변 상호작용과 대인관계를 기반으로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부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낙인이 형성될 수 있고 낙인의 형성은 자신에 대한 주변인들의 평가가 어떠한지에 대해 스스로가 인식하고 이를 자신의 자아에 반영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