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은 책, 시청한 드라마, 관람한 영화 중 두 개의 텍스트를 선정하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좀비의 발생과 속성
2. 재난에 대한 대응
3. 이기심과 자기희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소 공포영화를 즐겨보는 편이다. 공포영화는 주인공이 살인범 혹은 목숨을 위협하는 어떤 것과의 사투에 몰입되면서 평소에는 잘 느낄 수 없던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지만, 영화가 끝나고 암전된 화면을 보면 이 공포가 허상의 것이며 나는 안온한 현실로 돌아온다는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이 좋았기 때문이다. 공포물은 살인마 미치광이가 주인공들을 위협하기도 하지만, 유령, 뱀파이어, 좀비 등 죽은 자들의 습격을 받기도 한다. 오컬트 장르로 유령이나 귀신의 원한으로 빙의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한때 유행하였지만 우리나라에서 오컬트 장르나 호러물은 B급 영화로 취급되며 흥행몰이를 하지 못하였다.
좀비라는 소재 역시 한국적인 것으로 녹여내기에는 시간이 필요한 듯 했다. 그러다가 2016년 개봉한 영화「부산행」은 한국적 좀비영화의 전환점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대중적인 인기를 끌어 1000만 관객을 모으는 것에도 성공하였다. 「부산행」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KTX열차라는 밀폐된 공간에 좀비 감염자가 우연히 탑승하면서 승객들이 연쇄적으로 좀비로 감염되며 벌어지는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승객들은 갑작스러운 좀비사태에 침착함을 잃고 이기심으로 분열되지만, 좀비로 감염된 가족이나 친구를 두고 돌아서야 한다는 죄의식을 갖기도 한다. 그러한 가운데 누군가는 자신의 희생으로 다른 생존자를 구해내고, 또 누군가는 이기심으로 인해 살 수 있었던 사람들조차 좀비에 감염되는 사태가 벌어져 매우 현실적인 인간군상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