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전자 편집 기술의 원리와 중요성
2. 유전자 편집기술의 종류
1) 유전자 가위 기술
2) 유전자 복제, 도입 기술
3. 개발 사례
4. 향후 전망
1) 법적 규정
2) 기술적
3) 윤리적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유전자 편집기술의 원리와 중요성
유전자 편집기술, Genome Editing, 은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편집하여 조작한 후 이를 개체 내에 삽입하여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조작된 핵산분해효소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유전자 가위라고도 불리는데 핵산분해효소, 유전자 가위를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잘라 삽입하는 것이 유전자 편집기술의 주요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기본 원리는 DNA Repair System의 작용 기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DNA에는 돌연변이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DNA의 이중나선이 잘려 나가는 손상도 일어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복구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DNA Repair System은 두종류로 볼 수 있는데, 말 그대로 다른 작용 없이 절단된 부분을 연결하는 비상동말단연결 (Non-Homologous End Joining, NHEJ)와 손상된 부위와 유사한 서열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DNA 공여체를 통해 오류가 포함되지 않게 정확하게 복구하는 상동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 HR)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손상을 복구한다는 것 외에 일어나는 방식이 다르지만, 두 기전 모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류 없이 정확하게 복구된다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유전자의 발현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있으며, 원하는 결과값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DNA 공여체로 작용할 수 있는 DNA Donor를 함께 넣어 상동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최대로 높이곤 합니다.
유전자 편집기술은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바이오 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유전자 편집 시장의 성장과 인류의 난제라고 불리는 글로벌적 문제들의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