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①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② 행동주의 심리학
③ 내담자(인간)중심 상담이론
④ 인지적 심리치료 이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담은 생활지도의 한 방법이지만, 그 자체의 전문적 발전으로 인하여 생활지도의 핵심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전문상담의 대표적 이론인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행동주의 심리학, 내담자(인간)중심 상담이론, 인지적 심리치료 이론을 각각 살펴보고, 상담이론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프로이트(Freud)로부터 비롯된 정신분석학은 심리학이나 상담이론뿐만 아니라 20세기의 인간관, 철학, 사회사상 및 각종 학문에 영향을 주었다. 정신분석학의 방대한 이론체제 중 가장 중요한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리비도(libido): 초기 정신분석학은 성적 욕구를 인간행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으로 가정하였다. 모든 생물은 리비도라고 부르는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성욕을 포함한 모든 생산 욕구를 가리킨다.
프로이트는 어린아이에게도 성적 욕구가 있어서 이 욕구가 어디에 집중되는가를 가지고 아동의 발달단계를 설명하였다. 아이는 출생 후 5~6세까지 구강기-항문기-성기기를 거치는데, 각각의 성심리적 발달단계를 거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에 따라서 개인의 독특한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생후 1년 정도는 구강기라고 하여 욕구가 입, 입술, 혀에 집중되어 이 부위를 통해 쾌감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입을 통해서 세상을 탐색하고 이해한다.
그다음은 항문기로서 쾌감의 중심이 항문 및 배설과 관련되게 된다. 배설을 통한 쾌감의 경험을 비롯해서 배설을 참거나 배설을 잘못함으로써 부모로부터 벌을 받기도 한다.
그다음은 성기기로서 정신분석학에서 가장 비중 있게 연구한 발달단계이다. 성기기 때는 성기를 자극함으로써 처음으로 쾌감을 경험할 뿐 아니라 이성에 대한 성적 욕구를 경험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