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의 개념적 기초
2. 교육의 역사적 기초
3. 교육의 철학적 기초
4. 교육의 심리적 기초
5. 교육의 사회적 기초
본문내용
교육의 정의 방식(셰플러)
○ 조작적 정의
– 개념을 과학적으로 정의하는 방식
– 관찰할 수 없는 것을 관찰이 가능한 형태로 정의함
* 온도계로 온도를 알 수 있음
*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정범모)
○ 약정적 정의
– 의사소통을 위해 복잡한 현상을 무엇이라 부르자고 약속
* “교육은 훈련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라고 하자”
○ 기술적 정의
– 하나의 개념을 이미 알고 있는 다른 말로 설명(언어적 정의)
* 교육은 “학교에서 하는 일”, “가르치고 배우는 일”
– 교육을 무엇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 규정하는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기능적 정의라고도 함
○ 규범적 정의
– 교육이라고 부를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무언인가를 밝히고 그것을 가지고 교육의 의미를 정의
– 정의 속에 들어있는 규범 내지 행동강령이 들어있는 정의(강령적 정의)
* “교육 개념 속에 붙박여 있는 가치를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으로 전달하는 행위”
* 교육은 성년식이다
▣ 교육의 대표적 정의
○ 정범모의 교육 개념
–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
∙ 바깥으로 드러나는 행동의 변화에 중점
∙ 체계적 구체적으로 가르치기만 하면 인간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힘이 있음
– 교육의 정의의 개념적 준거
① 인간 행동
* 교육의 대상인 인간의 어떤 측면에 초점을 두는가에 따라 교육의 성격과 방법이 달라짐
* 행동은 과학적 혹은 심리적 개념으로서 외현적 행동뿐 아니라 내면적‧불가시적 행동을 포함(지식, 사고력, 태도, 가치관, 동기, 성격 특성, 자아개념 등)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