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신우신염 (APN) 케이스스터디 [A+]

목차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재의 건강 문제
4. 간호력
5. 신체사정
6. 질병
7. 투약
8. 임상 검사
9.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선정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병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1) 병태생리
-정의 : 상부요로감염으로 신장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급성과 만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숙주의 저항력이 감소되어 발생하는 원발성 질환이지만 다른 곳의 감염과정이 파급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 및 유발요인 : 세균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며 방광이 주된 감염원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대장균(E.coli)이며, 요도구와 가까운 회음부 주위와 항문주위에서 대개 발견된다. 요로감염의 다른 원인균으로는 Klebsiella, Staphylococcus aureus, Proteus, Pseudomonas, Haemophilus 등이 있다. 세균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확산되며, 특히 소변의 정체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어 요로감염을 일으킨다. 배뇨 후 방광에 남은 소변은 세균이 빠르게 증식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소된 수분 섭취는 세균을 농축시켜 세균의 증식에 기여할 수 있다. 치료되지 않은 방광의 감염으로 오염된 소변이 요로를 타고 신장으로 역류하여 신우신염을 야기한다. 또한 여아의 경우 해부학적요인으로, 요도가 약 2cm로 길이가 짧아 세균뇨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2) 임상증상
신우신염의 증상은 연령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사정 시 증상에 의해 나타나는 아동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배뇨 시 작열감 또는 따끔한 느낌이 있을 경우 영아는 배뇨 시 울 수도 있으며, 아동은 기저귀를 붙잡을 수도 있다.

3) 진단
-신체검진 : 신생아나 어린 영아는 황달이나 호흡수의 증가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영아나 아동의 경우, 회음부에 발적이나 불편감이 없는지 확인한다. 소변에 혈액이 섞여있는지, 혼탁, 어두운 색깔, 침전물, 점액, 악취가 있는지 관찰한다. 창백함, 부종, 혈압 상승을 확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