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심리의이해 기말고사 정리 자료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제13장_긍정심리학적 인간 이해
1_긍정심리학의 이해
[1] 긍정심리학의 등장
– 치료, 지능과 천재성 발견, 행복한 삶
= 2차 세계대전 이전 심리학 실천 사항
– 하지만 전쟁 이후 ‘치료’에만 중점
– 나머지 두 요소도 강조해야
[2] 긍정심리학의 기본 가정
– 인간 누구에게나 고통 발생
– 강점, 미덕, 탁월함도 누구에게나 있음
– 부정 정서와 긍정 정서는 서로 독립적
– 부정 정서와 긍정 정서는 상호보완적X
– 긍정심리학의 세 기둥
(1) 긍정상태
– 행복, 안락, 만족, 기쁨 등 가치있는 주관적 경험,
낙관적인 미래, 인생의 의미 등
(2) 긍정특질
– 일시적이지 않은 강점, 행동 양식, 미덕,
‘나’ 파악
(3) 긍정기관
– 긍정상태와 긍정특질을 독려하는 가족, 사회,
학교, 민주주의 제도, 조직적 특성, 의사소통
관리 방식
예) 내전 지역은 긍정기관 형성 어려움
[3] 긍정심리학의 개념
– 인간의 긍정적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
– 인간 최선의 기능 상태에 대해 과학적 연구
– 부정적인 측면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
적인 부분을 향상 -> 궁극적 목표는 행복한 삶
– 삶~죽음 모든 사건과 경험에 있어서 좋은 삶
이란 과연 무엇인가 새로운 관점으로 삶을
더욱 가치 있게 만드는 것에 대해 연구
– 신체적, 심리적, 대인관계적, 사회문화적 측면
에서 인간의 긍정적 요소를 찾음
– 특정한 발달 단계 뿐만 아니라 전 생애에 나
타나는 인간의 긍정적 특성과 변화 과정 연구,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촉진하고자 하는 학문
2_긍정심리학과 행복
[1] 긍정심리학의 행복관
[2] 진정한 행복이론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