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줄거리
2.5가지 상담장면에서의 상황 (기법, 분석)
3.의사소통에 대한 전반적 평가
4.느낀점
본문내용
상담일시: 2020년 5월 13일
내담자: 팻 솔리타노
성별/나이: 남자/30세
상담목표: 내담자의 조울증 치료 및 심한 감정기복 해결방안 모색
영화제목: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줄거리:
아내와 불륜을 저지른 동료선생을 폭행하고 접근금지 처분을 당한 뒤 정신 치료를 받는 ‘팻 솔리타노’는 가퇴원 형식으로 집에 돌아온다. 전처 니키와 재결합 하고 싶지만 접근금지명령 때문에 고민한다. 친구인 로니의 집에 방문하던 중 로니의 처제 ‘티파니’를 만나게 된다. 팻은 티파니가 남편을 잃고 슬픔, 외로움을 불특정 다수와 성관계를 가지며 달랬다는 걸 알게 되고 티파니는 팻이 결혼식 노래 등 아내와 관련된 트라우마가 있다는 걸 알게 된다. 팻은 티파니의 언니가 니키와 아는 사이라 티파니에게 니키를 위해 쓴 편지를 전해줄 것을 부탁한다. 그러자 티파니는 자신의 댄스대회에 파트너가 되어줄 것을 요구한다.
<중 략>
– 의사소통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 의사는 대체로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을 사용하며 팻이 자신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돕고 경청했다. 그에 반해 팻의 아버지는 팻이 심한 감정기복을 보이거나 자신을 통제하지 못할 때 화부터 내면서 그를 다그친다.
– 내가 주인공과 치료적 의사소통을 한다면 : 먼저 팻이 감정과 생각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개방적 질문을 하며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고개 끄덕임과 손짓 등을 활용하여 그의 말을 경청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영화 속 팻은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서 자신의 행동에 대해 반성하고 깊이 생각해보는 것처럼 보였다. 반영 기법을 사용해 그의 감정을 다른 용어로 표현해주며 공감해준다면, 팻은 자신을 이해해주는 사람이 있음에 안도감을 느낄 것 같다. 충고나 비난은 그의 상태를 더 악화시킬 뿐이라고 생각한다. 차분하게 대화를 이끌어나가며 팻이 스스로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