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1)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교통사로 인한 사망률(10만명당 사망자수)
2)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자살률(10만명당 사망자수)
3)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산업재해 사망률(10만명당 치명적 산업재해 수)
3. Result
1)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사고 유형 별 사망률을 나타낸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2) 나라별 특징
3) 견해
4.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교통사고나 자살사고,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등은 우리의 주변에서 생각보다 쉽게 일어나는 안전사고이다. 이러한 사고의 2020~2022년, 최근 3년을 기준으로 OECD 회원국인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통계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의 수치를 비교하고, 나라 별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그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논해보고자 한다.
<중 략>
2) 나라별 특징
미국은 교통사고, 산업재해, 자살률 순서로 심각성이 높았다. 특히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사망률은 높은 값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와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은 자살률, 교통사고, 산업재해 순으로 심각성을 보였다. 특히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자살률이 크게 높은 값을 보였다.
일본은 한국과 비슷하게 자살률, 교통사고, 산업재해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한국 다음으로 높은 자살률을 가졌다. 이외의 교통사고, 산업재해 면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낮은 값이었다.
영국은 산업재해, 자살률, 교통사고 순서로 사망률이 높았다. 하지만 영국은 산업재해 사망률을 제외한 교통사고와 자살률에서 다른 국가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영국 기준 가장 높았던 산업재해 사망률 또한 가장 낮은 순위인 일본과 비슷한 값을 가졌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