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 간호과정 케이스 간호과정 3개, 14page

목차

A. 문헌고찰
B. 간호과정 적용사례
C.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기 신부전 (End stage of renal disease)

정의
만성 신부전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은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해야 한다.

원인
만성 신부전의 원인은 지역 및 나이 등에 따라 다르지만, 한국에서의 주된 발병 원인은 당뇨병성 신장질환(41%), 고혈압(16%), 사구체신염(14%) 등이다. 그 밖의 원인으로는 다낭성 신질환과 기타 요로질환이 있다.

신부전 진행 5단계

Stage 1
신장 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검사상 이상이 관찰된다.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Stage 2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된다.
Stage 3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30~59%로 감소된다.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치료해야 하며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Stage 4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29%로 감소된다.
신장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투석 방법 및 이식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Stage 5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이하로 심하게 감소된다.
혈액투석 복막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 대체 요법을 시작한다.

<중 략>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일 하다보면 한번씩 약 먹는걸 까먹어요.”
“식사를 매번 신경쓰는게 어렵죠.”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말기 신부전 (End stage kidney disease)
– Kalimate(고칼륨혈증 치료제)의 복용을 점심에 가끔 깜빡함.
– 외식을 하지 않고 주로 집에서 먹으나 매 끼니 식이요법을 하기엔 어려움을 느낌.
– 신기능저하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 관리

목표설정
단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처방받은 약물을 빠짐없이 복용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3개월 이내에 칼륨 수치가 정상범위(3.5~5.0) 이내를 유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