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분야별 과업 내용
3) 연구 추진 절차
4) 연구방법
2. 대내외 환경 및 수요 분석
1) 아동 인구의 변화
2) 어린이박물관 관람객 규모
3) 어린이박물관 수요 확대
4)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설립목적
5) 방문객 수요조사 개요
6) 주요 관람객 연령층
7) 전반적 만족도
8) 체험전시의 적절성
9) 관람 공간의 적절성
10) 휴식 공간, 홍보, 운영의 적절성
11)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방문 이유
12)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장점
13) 현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불만족 요인
14) 어린이박물관 공간 확장의 필요성
15) 연령별(유아/초저/초고) 구분된 공간의 필요성
16) 공간 확장 및 개선 시 재방문 의향
17) 개선 및 확장을 희망하는 체험전시 및 교육 공간의 유형
18) 관람객 연령층에 따른 요구도 차이
3. 환경・수요 기반 역할 재정립 및 발전 전략 도출
1) As Is와 To Be Gap 분석
2) 환경・수요 기반 어린이박물관 역할 재정립 및 기능 설계
3) 환경・수요 기반 어린이박물관 역할 재정립 및 전략 도출
4. 어린이박물관 신축 공간 구성안
본문내용
연구의 배경
국정과제 56. 일상이 풍요로워지는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 중 “ 품격있는 문화시민 역량 강화“ 실천 과제 추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국정과제 차원의 노력
“국립중앙박물관 2030 미래전략“ 발표: 박물관에 대한 대중의 기대와 요구에 능동적인 대응 노력
근로시간 단축제도 실시, 육아휴직급여 소득대체율 인상 등 아동 돌봄과 양육지원 개선을 위한 제도 개선
저출산 고령화, 기술 혁명, MZ 세대의 사회 진출 등 정책 환경 변화
가족여가 시간 확대 및 가족 단위 문화 향유 욕구 확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 여가활동을 위한 콘텐츠 활성화 촉구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