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소아청소년 진료지침
1)진료대기
2) 진료
3) 검체 채취
3. 확진환자
1) 소아청소년 증상의 중증도 평가
2) 소아청소년의 독립성 평가 및 보호자 선정
3) 입원 치료
4) 퇴원결정
5) 확진환자의 격리해제
4. 출처
본문내용
1. 개요
* 소아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호흡기 질환의 빈도가 다른 연령에 비해 높고, 코로나 19외에도 다양한 여러 병원체에 의해 호흡기 질환이 발생함
* 소아청소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환의 중증도가 경미하며 무증상인 경우도 많음 특별한 치료 없이도 호전되는 경우가 대다수로, 무증상이나 경증 감염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타인과의 접촉을 제한하면서 돌볼 수 있음
* 소아청소년 환자의 보호자, 동거인, 주 보육자의 임상 증상, 확진환자 접촉력, 국내외 여행력, 코로나19 집단발생과 역학적 연관성도 함께 확인
2. 소아청소년 진료지침
1)진료대기
소아청소년 환자와 보호자는 마스크 착용을 유지하고 환자 간 간격유지, 자가문진표작성
단, 24개월 미만의 소아 또는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 등은 마스크 착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 경우 가급적 다른 환자들과 독립된 장소에서 대기하도록 하고, 독립된 장소 마련이 불가한 경우 보호자를 ㅈ[ㅔ외한 다른 사람들과 2m이상 거리 유지
2) 진료
* 임상증상 및 문진 확인
* 사례정의에 따른 환자 분류
* 문진 및 진찰: 비접촉 문진일 경우 개인보호구 교체 필요 없음 환자 접촉 전후 반드시 손위생
* 검사여부 결정
* 검체채취 안내
3) 검체 채취
* 검체종류
상기도검체1개
-소아의 협조가 안될 때에는 비인두 도말만으로도 가능
-출혈 경향이 있거나, 해부학적 구조상 비인두 검체 채취가 불가능한 경우 구인두도말만으로도 가능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