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공시가격제도는 1) 공시지가제도, 2) 주택가격공시제도, 3) 비주거용부동산가격공시제도

목차

문제 1
1_공시지가 제도
2_주택가격 공시제도
3_비주거용 부동산가격 공시제도
4_공시가격 제도 개선 방안

문제 2
1_비교표준지 선정기준
1) 시점 수정
2) 지역 요인 비교
3) 개별 요인 비교
2_기타 요인 보정

문제 3
1_원가법의 의의
2_감가 수정 방법
3_감정평가 시 유의 사항

본문내용

1_공시지가 제도
부동산 공시는 부동산에 대한 일정한 사항을 공개적으로 알리는 제도로 부동산과 관련된 법률 관계를 널리 알리는 등기 제도와 부동산의 가격을 알리는 가격 공시 제도가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도 부동산 가격 공시 제도는 토지, 주택 등 부동산의 적정 가격을 공시하는 제도이다. 현행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서는 토지에 대해서는 공시지가 제도를, 주택에 대해서는 주택가격 공시 제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주택보다는 토지 가격의 공시, 즉 공시지가 제도가 더 많이 활용된다. 여기서 ‘활용된다’는 것은 실제 부동산에 대한 거래에서 활용된다기보다는 국가에서 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부과할 때 기준으로 삼는다는 의미이다.
공시지가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공시지가는 토지와 관련된 국세와 지방세의 부과 기준이 되고, 개발부담금을 비롯한 각종 부담금의 부과 기준이 된다. 국토교통부는 공시지가가 61개 분야에서 활용된다고 소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홈페이지.표준지공시지가 관련 Q&A
.
토지에 대한 공시지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표준지 공시지가와 개별 공시지가가 그것이다. 표준지 공시지가란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 제3조에 의해 국토교통부 장관이 결정 공시하는 표준지 단위면적당 적정 가격이다. 표준지라는 것은 주변 지역 또는 유사한 환경의 토지를 대표할 만한 것을 선정해서 그것에 대한 적정 가격을 산정해 표준으로 활용한다는 의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국의 모든 토지가 표준지 공시지가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