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암
1.2. 항암제
2. 항암제의 약리학적 의의와 효과 및 부작용
2.1. 항대사물
2.2. 알킬화제
2.3. 항암성 항생제
2.4. 미세관 억제제
2.5. 스테로이드호르몬과 길항제
3. 창작 문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암은 무엇인가. 암은 인체 내의 세포가 각종 원인에 의해 무제한으로 증식하여 형성되는 악성 종양이다.
일단 암의 분자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수십 년 동안 많은 암세포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있었고, 전통적으로 하나의 유전자와 한 가지의 기능 이상만을 연구해 왔다. 현재는 암유전체의 서열 분석을 통해 더 많은 유전자 이상이 발견되어 복잡한 후생유전학적 변화들을 동시에 고려해야만 한다. 2011년 Weinberg 교수는 ‘Cell’이라는 저널에 “모든 암에서의 분자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10가지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발표하였다.
① 성장 인자 지속 방출: 외부의 자극 없이도 종양 유전자의 작용으로 지속적인 성장 능력이 있다.
② 성장억제인자 회피: 종양 억제 유전자의 불활성으로 인해 정상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로가 반응하지 않는다.
③ 면역 반응 회피: 암세포는 수많은 변형을 통해 숙주의 면역 반응을 무력화 시킨다.
④ 무한 증식: 암세포는 세포증식능력에 제한이 없고 마치 줄기세포와 같은 특징들을 가진다.
⑤ 염증반응: 암을 촉진하는 염증 반응을 통해 후생 유전학적 변화가 가속된다.
⑥ 침습과 전이: 암의 침습과 전이라는 특성에 의해 예후가 나쁘다.
⑦ 혈관 생성: 암세포 또한 정상 세포처럼 혈관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하므로 혈관 생성이 필요하다.
⑧ 유전체의 불안정성과 변이: 유전체의 불안정성과 변이로 후생 유전학적 변화가 가속된다.
⑨ 세포사 회피: 암세포는 세포사멸에 저항적인 특성이 있다.
⑩ 세포 대사 변화: 암세포는 빠른 성장을 위한 거대분자와 세포 소기관을 합성하기 위해 유산소 당분해로 대사를 변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의 가장 큰 차이는 ‘성장 속도’이지만 예외가 있어 성장 속도만 가지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 둘은 수 많은 조직학적, 해부학적 소견들을 종합하여 판단하여 감별할 수 있고..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