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2. 의료관련감염의 기전과 경로
1) 내인성 감염
2) 외인성 감염
3. 의료관련감염의 종류
1) 요로감염
2) 폐렴
3) 균혈증
4) 수술 부위 감염
4. 의료기관 감염 예방/관리를 위한 필수 항목
5. 의료기관 감염 예방관리를 위한 즉각 조치 내용
본문내용
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의료관련 감염이란 의료와 관련된 모든 감염이다. 과거에는 원내감염 또는 병원감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의료행위와 관련된 감염이 병원에 국한된 것만이 아니며, 퇴원한 이후 요양시설이나 기타 의료관련기관 그리고 지역사회까지 파급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의료관련감염이라는 용어로 그 범위를 확대하였다.
2. 의료관련감염의 기전과 경로
1) 내인성 감염: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상주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 환자 자신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 저하로 발생
2) 외인성 감염: 외부에 있는 균이 환자에게 들어와서 생기는 감염(요로 또는 혈관 내 카테터 삽입, 내시경 검사 등)→ 의료진의 ‘손 위생’이 가장 중요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