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2. PVA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 변화 관찰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1) PVA의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와 zeta-potential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 경향성을 밝히고 그 이유를 써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은 저번 실험과 같이 이미 존재하는 PLGA[lactic acid: glycolic acid(65:35)] 분말을 사용해, W/O/W double emulsion method를 통해 methylene blue가 봉입된 nano particle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PVA 농도가 PLGA 나노 입자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PLGA의 PVA 농도를 1%, 5%로 나누어 만들고 Dynamic Light Scattering(DLS)로 입자의 크기, PdI, Zeta-potential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PVA의 농도가 증가할 경우, 입자들 간의 반발력이 커져 응집현상을 막아 나노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나노 입자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우리 조의 결과는 PV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증가하였다. 하지만 전체의 데이터를 분석했을 때는 PV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고,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 W/O/W double emulsion 기법을 이용해서 methylene blue가 봉입된 PLGA 나노 입자를 만들고 PVA의 농도에 따른 나노 입자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한다.
– 실험 원리
1. W/O/W emulsion method
오일이 물에 분산되거나 반대로 물에 오일이 분산된 것을 emulsion이라 한다. 물과 유기 용액을 매우 균일하게 섞어 o/w emulsion을 만든 후에 이를 다시 물에 넣어 균일하게 섞은 후에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 입자를 고체 상태로 얻는 방법이 w/o/w emulsion method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