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담관결석 Choledocholithiasis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3개

목차

1. 문헌고찰
2. 대상자 정보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3개

본문내용

A. 사례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성명 :
성별 : M
연령 :
거주지

학력 : 고
경제수준 : 중
종교 : 무교
정보제공자
본인, 배우자
입원일: 2022년 10월 18일
입원경로 : □ 외래 □ 응급실
진단명: Choledocholithiasis
키: 165cm
체중 57kg
체온: 37.8℃
호흡: 20회/분
맥박: 73회/분
혈압: 120/75mmHg
대상자의 진단명을 학습하시오.
1. 정의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내 담관과 담낭에서 나오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으로 십이지장까지 연결된다. 총담관 담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담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5~20%에서 총담관 담석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2. 원인
총담관 담석에는 담낭의 담석이 담낭관을 빠져나와 총담관에 담석을 형성하는 경우(이차성 담관 담석), 담관의 감염 혹은 담즙 정체로 인하여 처음부터 총담관 안에서 담석이 만들어지는 경우(일차성 담관 담석)가 있다. 총담관 내에서 만들어지는 담석은 세균 및 기생충 감염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담관 담석에 대한 치료를 시행한 후 재발 방지를 위해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3. 병태생리
– 일반적으로 총담관 결석증의 병리는 담석증과 유사
– 담낭과 담도계에 결석이 형선된 것
– 담즙 구성 변화: 담즙염 부족, 콜레스테롤과 빌리루빈 과잉
– 콜레스테롤 담석과 혼합석이 전체의 80%, 색소담석이 20% 차지
– 담석은 담관을 막아 폐색을 일으켜 황달과 지발흡수장애를 초래함
– 나이가 들수록 빈도가 증가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