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간호과정 보고서 (자궁탈출, 사정 정확함, 최종 수정자료!)

목차

Ⅰ. 간호력
1.입원 시 정보
2. 건강력
3. 현병력 및 주호소
4. 신체사정
5. 기능적 건강양상에 관한 사정
6. 경과기록

Ⅱ. 진단적 검사

Ⅲ. 투약(medication)

Ⅳ. 대상자 사례 기술 및 분석

Ⅴ. 간호과정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 목표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지표(WBC, CRP, ESR)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한다.
2. 대상자는 삽관물을 제거하기 전까지 삽관부위에 감염 sign(붉어짐, 부음, 뜨거워짐, 통증, 고름 생성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감염의 징후와 증상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한다.

2. 대상자는 수술 후 *48시간 이내에 정상적인 체온(36~37.5℃)을 유지한다.
[*시간설정 근거: 카테터 48시간 이상의 유치,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고 72시간 후에도 열이 지속되면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출처: 감염분과. 대한내과협회]

간호계획
<사정적 중재>
1. 최대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수술한 직후 12시간 동안 최대 1시간마다 special V/S 체크한다.)

2. J-P drain을 비울때마다, 삽입 부위 주변에 문제(당김, 부종, 고름, 뜨거운 느낌, 평상시보다 더 많은 발적)가 있는지 사정한다.

1. 활력징후에 대한 사정은 기초 자료 및 비정상적인 상태를 사정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으로 활력징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감염 시 V/S 변화는 체온상승, 맥박 상승, 혈압 상승, 호흡 수 상승으로 확인할 수 있다
[최신 기본간호학. 2020. 송경애외
성인건강간호학].

2.. J-P drain을 통해서 감염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증상을 사정한 뒤, 삽입 부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Jackson-Pratt 배출관 관리.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