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항응고제 사용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2. 폐색전증으로 인한 관류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본문내용
2) 간호진단: 가능한 간호진단 모두 도출
번호
진단일
간호진단
(A와 관련된 B)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11/9
폐색전증으로 인한 항응고제 사용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없음
1. warfarin 5mg을 경구로 투여함.
2. heparin 1 mL 투여함.
3. 15.5 mL/hr로 heparin 투여함.
4. Lab 검사 결과 APTT 수치가 68s로 지연됨.
5. 11월 6일 오른쪽 고관절 반치환성형술은 시행함.
#2
11/9
폐색전증으로 인한 관류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1. air room에서 심한 호흡 곤란을 호소함.
1. VQ scan 검사 결과 왼쪽 폐에 폐색전증 있음.
2. air room에서 SpO2 88%로 떨어짐.
3. ECG에서는 폐고혈압 보이는 Sinus rhythm 있음.
#3
11/9
수술(고관절 반치환성형술) 후 폐 색전 형성, 폐색전증으로 인한 항응고제 사용과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
1. air room에서 심한 호흡 곤란을 호소함.
1. VQ scan 검사 결과 왼쪽 폐에 폐색전증 있음.
2. air room에서 SpO2 88%로 떨어짐.
3. ECG에서는 폐고혈압 보이는 Sinus rhythm 있음.
4. warfarin 5mg을 경구로 투여함.
5. heparin 1 mL 투여함.
6. 15.5 mL/hr로 heparin 투여함.
7. Lab 검사 결과 APTT 수치가 68s로 지연됨.
8. 11월 6일 오른쪽 고관절 반치환성형술은 시행함.
#4
11/9
항응고제 사용으로 인한 출혈 위험증가와 관련된 쇼크의 위험
없음
1. warfarin 5mg을 경구로 투여함.
2. heparin 1 mL 투여함.
3. 15.5 mL/hr로 heparin 투여함.
4. Lab 검사 결과 APTT 수치가 68s로 지연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