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moid colon cancer (s상 결장암/대장암/s상 대장암) A+ 케이스스터디 / 간호진단 4개(우선순위, S, O data), 간호과정 2개

목차

1. 질병고찰
– 대상자의 진단명
– 정의
– 병태생리
– 증상 및 징후, My patient와 비교
– 치료_진단검사, 약물, 처치
– 간호

2. 대상자 간호력
– 간호사정
– 신체사정
– 영양, 배설, 활동, 역할 사정
– 특수사정

3. 진단검사

4. 약물

5. 총괄적 소견

6. 간호진단, S, O data

7. 간호진단 우선순위 선정 및 이유

8.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질병고찰

대상자의 진단명
주) sigmoid colon cancer (s상 결장암)
정의
*결장직장암/대장암 (colorectal cancer)
결장직장암(이하. 대장암)이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암을 말한다. 우리나라 결장직장암 유발자는 2017년 기준 251,063명으로 전체 암 유병자 중 약 13.4%이며, 이는 전체 암 중 3위에 해당한다. 남녀 성비는 1.4:1로 남자에게 더 흔하다. 결장직장암의 위험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50세 이상의 사람들이 새로운 결장직장암 사례의 약 90%를 차지한다.
결장직장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이름을 다르게 명명하는데, 본 대상자의 경우 S상 결장에 암이 전이된 소견보여, S상 결장암(sigmoid colon cancer)이라 한다. 발생위치별로 발병빈도를 나열해보면, ‘직장>S상결장>하행결장>상행결장>횡행결장’순이다.
위험요인으로는 식이요인, 비만, 유전적 요인, 선종성 용종, 염증성 장질환, 신체활동 부족, 음주, 50세 이상의 연령 등이 있다. 대상자의 경우 유적적 요인, 식이요인(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함), 음주, 고연령 등이 영향이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병태생리
다른 암과 달리 대부분 결장직장암은 단일 위험요인으로 설명할 수 없다. 위험요인으로는, ‘주 4회 이상의 음주, 흡연, 직계 가족력,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FAP)의 과거력 및 가족력, 비만(BMI 30kg/m^2 이상), 결장직장암염증성 장질환당뇨병의 과거력, 주 7회 이상의 육식섭취’가 있다. 가족성 선종성 폴립증과 염증성 장질환 같은 유전적 소인이 결장직장암의 위험을 높이며, 결장직장암의 약 20%는 결장직장암 가족력을 가진 환자에서 발병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