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실습 동맥관개존증(PDA) 문헌고찰

목차

1. 정의

2. 원인

3. 경과 및 예후

4. 병태생리
1) 정상 혈액순환
2) 태아 혈액순환
3) 대동맥개존증의 병태생리

5. 증상

6. 진단 및 검사

7. 치료
1) 비수술적 방법
2) 수술적 방법
3) 주의사항

8. 간호

9. 합병증

본문내용

1. 정의
: 태생기에 있던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닫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

– 선천성심장병의 5~10%로 비교적 흔한 기형
– 남성의 발생률이 여성의 발생률보다 3배 높음
– 임신 초기 풍진에 감염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음
– 저체중출생아에서 출생 후 동맥관이 열려 있는 경우가 매우 흔함
– 미숙아에서 동맥관 개존이 큰 경우, 호흡곤란증후군이 훨씬 악화되므로 동맥관을 빨리 막아주어야 함

2. 원인
– 현재 정확한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음
– 일부 염색체 이상이나 유전적 질환, 임신 초기 풍진 감염 시 기형 초래 가능성 존재
– 태아기에 과도한 항간질 약물(알코올, 페니토인 등) 노출 시 위험 증가

3. 경과 및 예후
(1) 경과
동맥관의 크기가 커서 대동맥의 혈액이 폐동맥으로 많이 흐르면 폐와 심장에 부담이 되어 호흡곤란이나 성장 부진 등 심부전 증상이 발생하며, 치료가 지연되면 아이젠멩거 증후군으로 진행할 수 있음.
(2) 예후
출생 후 일주일까지 존재하면 자연스럽게 닫히는 경우는 극히 드묾. 성인이 되어 동맥관이 확장되는 동맥류가 발생하여 터지는 경우 생명이 위급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동맥관 석회화, 혈색전증, 동맥 내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음.

4. 병태생리
1) 정상 혈액순환
– 우심실계(우심방, 우심실): 체순환을 통해 신체에 필요한 산소를 제공하도 돌아온 정맥혈을 폐로 공급
– 좌심실계(좌심방, 좌심실): 폐순환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산소를 충전하고 돌아온 동맥혈을 전신으로 공급
– 심장에서 나온 동맥혈(산소↑) → 대동맥 → 전신(산소 공급) → 정맥혈(이산화탄소↑) → 우심방 → 우심실 → 폐 → 동맥혈(산소↑)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2) 태아 혈액순환
출생 이후의 혈액 순환은 체순환과 폐순환이 한 방향으로 흐르는 직렬 순환이지만, 태아 순환은 숨을 쉬지 않기 때문에 태반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므로 병렬 순환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