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의 이해와 약물 요법

목차

Ⅰ. 당뇨병의 개요
1. 당뇨병의 진단 기준
2. 당뇨병의 분류

Ⅱ. 혈당강하제의 작용기전
1. 혈당 조절의 주요 장애 원인
2. 약제의 선택

Ⅲ. 혈당강하제의 종류
1. 설폰요소제
2. 메글리티나이드(Meglitinide) 계열
3. 바이구아나이드계( 메트폴민 )
4. 치아졸리딘디온계5. 알파 글루코시다제 억제제
6. 인크레틴제제
7.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용체
8. 병합요법

Ⅳ. 경구혈당강하제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1. 혈당에 영향을 주는 약물
2. 경구혈당강하제 복용 시 주의점

Ⅴ. 인슐린 주사법
1. 인슐린 치료 개요
2. 인슐린 종류별 특성과 인슐린 치료법 선택

Ⅵ. 올바른 인슐린 주사법
1. 인슐린 주사 시 준비물
2. 인슐린 주사기 및 주사바늘 선택
3. 인슐린 보관
4. 인슐린 주사 부위 선정
5. 주사부위 순환
6. 주사부위 문제점
7. 인슐린 흡수율
8. 올바른 인슐린 주사법 Q&A
9. 펜형 인슐린 주사법

Ⅶ. 인슐린 용량조정
1. 지속형 인슐린 주사 시 알아야 할 점
2. 혼합형 인슐린 주사 시 알아야 할 점
3. 초속효성 인슐린 주사 시 알아야 할 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당뇨병(Diabetes Mellitus)
당뇨병은 단순한 질병이 아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대사성 질환이다. 인슐린 분비 혹은 기능장애로 고혈당이 특징적이며 이와 함께 신체기관의 손상과 기능부전을 초래하여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어 사망까지 이르게 될 수도 있는 질환이다
1). 당뇨병의 진단기준
– 당화혈색소(HbA1c) ≧ 6.5%
– 공복 8시간 이상 경과 후 공복 혈장 혈당 ≧ 126mg/dl
– 75g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 경과 후 혈장 혈당 ≧ 200mg/dl
– 당뇨병의 전형적 증상 (다뇨, 다음, 설명되지 않는 체중감소) 과 임의 혈장 혈당 ≧ 200mg/dl
2). 당뇨병 전단계의 진단 기준
당뇨병 전단계는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애 2가지로 나뉘며, 정상보다는 높은 혈당이나 당뇨병 진단 기준에는 미치지 못함
3). 당뇨병 선별검사
① 목적
고위험군이나 당뇨병을 진단받을 가능성이 높은 대상자의 당뇨병 혹은 내당능장애에 대한 선별과 조기 진단을 위함
② 대상 및 검사주기
40세 이상의 모든 성인이나 위험 인자가 있는 30세 이상 성인에게서 매년 시행( 검사는 공복혈당, 경구 당부하 검사, 당화혈색소로 시행),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에는 3년마다 검사 시행 권고

위험인자
– 체질량지수 23kg/m² 이상의 과체중
– 공복혈당장애, 내당능장애 진단 과거력
– 140/90 mmHg 이상의 고혈압이거나 약물 복용
– 부모, 형제자매 직계가족의 당뇨병이 있는 경우
– 4kg 이상 거대아 출산력 혹은 임신성당뇨병
– 고밀도지단백(HDL cholesterol) < 35mg/dl 혹은 중성지방(TG) ≧ 250mg/dl - 다낭난소증후군, 흑색극세포증 등 인슐린 저항성 의심소견이나 임상증세가 있는 경우 - 관상동맥질환 등의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이 있는 경우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