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
2.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3. 관심 있는 클라이언트(노인)의 문제점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Ⅲ. 마무리하며
Ⅳ. 자료출처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개념
(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일반적 개념: 사회복지실천현장(field of practice)은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활동하는 장소’또는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법적으로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및 시설’을 의미한다.
(2) 협의의 사회복지실천현장: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이다.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지는 ‘구체적 장소’를 말한다.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가족폭력피해자 여성쉼터 같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사회복지기관이 이에 속한다.
<중 략>
2.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사회복지실천현장은 기관의 기능 및 운영 목적, 기관의 설립주체 및 재원조달방식, 서비스제공방식, 주거
서비스제공여부, 이윤추구여부의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기관 기능 및 운영의 목적에 따른 분류
① 1차 현장: 기관의 주기능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회복지사가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실천현장이다.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이 이에 속한다.
② 2차 현장: 사회복지전문기관은 아니지만 사회복지서비스가 기관운영과 서비스의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복지사가 부분적으로 개입하는 실천현장.이다. 기관의 일차적 기능은 따로 있으며 필요에 의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며 병원, 학교, 정신건강증진센터, 주민센터, 보건소, 보호관찰소가 그 예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