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6. 결론
7. Reference
본문내용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임00씨는 70세의 여환으로 당뇨(1999년 진단)와 고혈압(2014년 진단)이 있는 분으로 투석 치료를 위해 외래를 통해 보호자 동반 하에 휠체어를 타고 입원하였다. 진단명 CKD, stage 5 하에 기운이 없음과 어지러움을 호소하며 신장내과 병동으로 입원하였다. 신장은 155.5cm에 체중은 61kg이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없다. 최근 당뇨약과 고혈압을 복용 중에 있다. 가족력과 수술력은 없다. 알레르기는 없다.
입원일인 7월 18일 9:00 V/S은 T/P/R = 36.4도/71회/분/20회/분, BP = 176/74mmHg, SpO2 : 97%이었다. 지침약 복용금지 설명문 통해 설명하였다. Rt. perm cath 예정으로 금식을 교육하였다. 시술 과정 설명 및 준비 후 14..5Fr – 19cm valve type catheter을 사용하여 Rt.perm cath inserted하였다. Rt. perm cath 삽입 부위에 redness 관찰되었으며 “칼로 벤 것처럼 아파요”라고 호소하였다. 얼굴을 찡그리고 누워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NRS 척도 결과 5점이 측정되었다. 통증 부위는 쇄골하정맥이며 “칼로 벤 것처럼 아파요”라고 하였다. 통증으로 인해 침상 난간을 꽉 붙잡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통증 조절 위해 처방에 따라 진통제 Tridol 100mg/2ml IV 1 AMP 투여하였다. 21:00 V/S은 T/P/R = 37.6도/62회/분/20회/분, BP = 163/65mmHg이며 통증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당은 296mg/dL 확인되었다. 혈액검사결과 BUN (63▲), Creatine (6.78▲), Cystatin-C (3.94▲) eGFR (5.5▼)이 관찰되었다. 보호자에게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침상 안정하며 보호자(배우자) 상주 중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