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장티푸스 발생 현황
Ⅱ. 본론
1. 장티푸스란?
2. 원인
3. 증상
4. 장티푸스 치료와 관리
Ⅲ. 결론
1. 장티푸스 문헌고찰
2.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서론>
-장티푸스 발생 현황-
질병관리본부는 2018년 2월 26일 기준 장티푸스 환자가 68명, 세균성 이질 환자는 79명 발생했고, 이는 지난해(2017) 장티푸스 14명, 세균성 이질 24명과 비교해 급격히 늘어난 규모라고 밝혔다. 이들의 4명 중 3명은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한 것으로 확인되어 이들 국가를 방문할 때는 손 씻기와 음식 익혀먹기 등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켜달라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아래 질병관리청 통계에서 보듯 2018년 총 장티푸스 환자는 무려 213명에 이르렀다. 뉴스가 나온 이후, 145명의 환자가 추가로 발생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 사태가 발생 된 이후, 여행의 감소로 장티푸스 환자가 눈에 띄게 줄긴 하였으나 여전히 환자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장티푸스에 대해 조금 더 경각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론>
1. 장티푸스란?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균종의 특정 아종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이는 몸속으로 침투하여 발열과 복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