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및 배경지식
2. 실험목적
3. 실험 재료 및 기구(Materials & Apparatus)
4. 실험 방법(Procedure)
5. 실험 결과(Result)
6. 고찰(토의, Discussion)
7. 참고 문헌(Reference) 및 사이트
본문내용
1. 서론 및 배경지식
응집반응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응집원(항원)과 혈장의 응집소(항체)가 반응하여 서로 결합하는 것을 응집반응이라 한다.
혈액의 구성
①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액체성분(혈장)과 혈구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분된다.
② 혈청은 혈장에서 혈액응고물질인 피브리노겐을 뺀 나머지를 말한다.
ABO식 혈액형의 구분
① 응집원(항원)은 적혈구 막 표면에, 응집소(항체)는 혈장에 있다.
② 응집원은 A와 B 두 종류이고, 응집소는 응집원 B와 만나면 응집한다.
Rh식 혈액형의 구분
① Rh 응집원(항원)은 적혈구 막 표면에 있으며, Rh 응집소(항체)는 혈장에 존재한다.
② Rh⁻ 형인 사람이 Rh 응집원에 노출되면 Rh 응집소를 생성한다.
Rh식 혈액형의 판정
①항 Rh 혈청에 응집하면 Rh⁺형, 응집하지 않으면 Rh⁻형이다.
2. 실험목적
① ABO식 혈액형과 Rh식 혈액형을 판정 할 수 있다.
② 혈액형을 판정해보면서 혈액형 판정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3. 실험 재료 및 기구(Materials & Apparatus)
항 A혈청, 항 B혈청, 항 Rh혈청, 에탄올 솜, 핀셋, 이쑤시개, 슬라이드 글라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