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 신소재공학실험1) 4주차 고분자 화학구조 분석 결과보고서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4. 시약 및 기기

5. 실험 방법
1) FT-IR 분석법
2) H NMR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결론 및 고찰
1) NMR
2) FT-IR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고분자 화학구조 분석

2. 실험 날짜
23.03.23

3. 실험 목적
– NMR과 FT-IR을 이용한 PVAc 및 PVA의 화학구조를 분석해본다.

4. 시약 및 기기
⁻ VAc, PVAc, PVA, hydrolyzed PVA ①, ②
⁻ NMR 용매 (CDCl3, DMSO-d6)
⁻ Vial, spoid, NMR tube

5. 실험 방법
1) FT-IR 분석법
① Water compensate으로 water, CO2의 peak을 제거한다. → 수분 peak 제거
② Back-ground를 scan한다. → back-ground 측정
③ 고분자 필름 세팅 후 sample을 scan한다. → sample 측정
④ 검출된 spectrum에서 base-line과 smooth 보정을 통해 결과 그래프를 얻는다.
⑤ 결과 그래프와 IR Table을 바탕으로 시료의 구조를 분석한다.

2) H NMR 실험 방법
① 측정할 시료를 DMSO-d6 용매에 녹인다.(시료: 10 mg, 용매: 0.6 ml)
② 용해된 시료를 스포이드를 이용해 NMR tube에 주입 후 입구를 막는다.

<중 략>

7. 결론 및 고찰
1) NMR
⁻ PVAc (DMSO-d6), PVA, partially Hydrolyzed PVA nmr data peak assign
NMR데이터 A의 경우에 peak이 B와 C에 비해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partially Hydrolyzed PVA임을 알 수 있다. 부분적 가수분해 된 PVA는 많은 작용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중 CH2-CH-O의 CH기가 가장 주변 원자의 전기음성도가 커 H의 전자 밀도가 작아지고 shielding이 작아져 화학적 이동을 많이 하게 된다. 그 다음은 OH기의 H이다. 그 후 -CH-, -CH3, -CH2-, CH2순으로 화학적 이동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