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일반적 정보
2. 질병 문헌고찰
3. 사정내용
1) 특이사항
2) 활력증상
3) 체액검사
4) 각종 검사
5) 투약
4.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 3개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일반적 정보 (필요 시 가계도를 추가로 확인)
이름
윤**
성별/나이
F/78년 11개월
입원날짜
2023-09-13
입원경로
외래
진단명
2’chemical burn, ankle, both
환자사정일
2023-09-18
수술/처치명
(Both) Debridement & Local flap or STSG
수술일(외과시)
2023-09-20
입원과정
상기환자 78세 여자환자로 양쪽 발 뒤꿈치에 발생한 burn을 주호소로 치료 위해 외래 통해 택시 타고 입원함.
과거병력
HTN
자가약물
종합비타민(칼륨, 오메가3, 루테인)
2. 질병에 대한 정보
진단
피부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정의
열에 의한 신체 조직의 손상을 의미한다. 신체에 열이 가해진 원인에 따라 화염화상, 열탕화상, 접촉화상, 전기화상, 화학화상 등으로 나뉘며, 조직이 손상된 깊이에 따라 1도부터 4도까지 구분한다. 이 중 2도 화상은 진피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다시 표재성 2도 화상과 심재성 2도 화상으로 나뉜다.
증상
1. 화상의 깊이에 따른 분류와 증상
1) 표재성 화상: 1도 화상
1도 화상은 표피층만 손상된 상태로 화상을 입은 부위에 홍반이 생긴다. 주로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나, 고도의 발열에 순간적으로 접촉 또는 노출됨으로써 생긴다. 증상으로 가벼운 부종, 통증, 열에 대한 민감성 증가, 홍반 등이 있으며 압력을 주면 피부가 창백해지고 피부색은 분홍, 적색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