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5 유방암 간호과정 레포트 좋은 점수 받음

목차

1. 유방암 수술을 받는 환자 간호과정
1-1. 사정
1-2. 진단
1-3. 계획과 목표
1-4. 간호 중재
1-5. 평가

2. 교육계획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정
건강력은 진단에 대한 환자의 반응과 대처 능력을 사정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된다.
·진단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가?
·대상자가 가장 유용하다고 판단한 대처방법은 무엇인가/
·환자가 가지고 있고 사용하고 있는 심리적·감정적 지지자원은 무엇인가?
·치료법 선택 시 환자를 도울 수 있는 가족 또는 친구가 있는가?
·교육적 요구는 무엇인가?
·대상자는 불편감을 경험하는가?

진단
수술 전 간호진단
·계획된 외과적 치료와 관련된 지식 결핍
·암진단과 관련된 불안
·특수한 치료와 신체상 변화와 관련된 두려움
·유방암의 진단과 치료선택과 관련된 방어적이고 비효율적인 대처 위험
·치료법 선택과 관련한 의사결정 갈등

수술 후 간호진단
·수술과정과 관련된 급성 통증과 불편감
·영향을 받은 팔, 유방, 흉벽의 신경자극과 관련된 감각지각저하
·유방의 변화나 손실과 관련된 신체상 문제
·암진단과 외과적 치료와 관련한 적응문제의 위험
·수술 받은 쪽 팔의 부분적 부동과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신체부분의 손실, 신체상의 변화, 파트너의 반응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성기능상실 위험
·지식결핍: 유방 수술 후의 배액관리, 영향받은 사지의 움직임 회복을 위한 팔운동, ALND 이후의 손과 팔 관리
계획과 목표
주요 목표는 질환과 치료에 대한 지식 증가:수술 전후 공포, 불안, 정서적 스트레스 감소;의사결정능력 향상;통증관리, 대처능력 향상;성기능 향상;합병증 예방이다.

간호 중재
수술 전 간호중재
외과적 치료에 관한 교육제공과 준비
간호사는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정보를 게종하고 모든 질문에 대답함으로써 치료법 선택 재검토 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호사는 수술 전-중-후에 어떤 과정이 예상되는지 환자가 충분히 알고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배액관이 있는 경우 환자는 배액관을 가지고 퇴원하게 되며, 퇴원 전 배액관 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