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F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목차

Ⅰ.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 론
1. 간호과정
2. 건강사정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호흡기&감염내과로 호흡기계의 질환과 관련된 병동으로 실습을 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90%가 폐렴을 갖고 있거나 폐렴의 위험성을 갖고 있는 대상자들로 그 외 대상자들은 COPD나 천식을 갖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발성폐섬유증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이라는 다소 생소한 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를 연구해 보려한다. 따라서 본 사례 연구는 실제 특발성 폐섬유증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진단을 받은 대상자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증상을 상정함으로써 가장 중점적으로 사정해야할 대상자의 상태는 어떤 것인지를 확실하게 알고 적절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상태호전의 완화를 돕고 지지적인 간호를 보다 잘 수행한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사례의 연구가간은 2019년 08월 26일부터 09월 03일까지 하였으며, 대상자는 강원대학교병원 92병동, 호흡기계 병동에 입원한 환자로, 위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및 보호자와의 면담, 간호 기록지, 카텍스, 각종 검사결과와 Dr order, Nursing progress note를 참고하였습니다.

<중 략>

5. 간호과정

-#1 호흡기능부전, 객담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사정

주관적 자료
-“기침 때문에 잠을 잘 못 잤어요.”
-“기침을 너무 많이 해요.”
-“숨쉬기가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
-기침 하는 것을 자주 봄.
-호흡수 24~26회
-숨을 쉴 때 힘들어 하는 모습을 봄.
-호흡음이 거칠음.
-SpO2: 95%(n:98-100%)
-폐음: crackle

간호목표
대상자는 하루 이내에 효과적인 기침과 호흡을 한다.
대상자가 숨 쉴 때 불편감이 덜해졌다고 표현한다.

계획
1. SpO2를 측정한다.
2.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3. 호흡기 분비물을 관찰한다.
4.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도록 격려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