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서론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임상병리검사
4) X-ray 및 특수검사
5) 사용약물
6) 간호문제목록
7)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특성)
요로 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세균 질환이다. 전반적인 유병률은 매년 약 40만 명으로 어린 소아들에서 진단된다. 백인, 여성,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소아에서 발생 비율이 높다. 여아는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아보다 2~4배의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따라서 3개월 미만의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아와 12개월 미만의 여아는 가장 높은 요로감염의 기저 유병률을 보인다.
요로감염은 요도 하부인 요도, 방광 또는 상부 요로인 요관, 신우, 신배, 신 실질을 포함한다. 특히 어린 소아는 상부 감염과 하부 감염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정의된다. 상부 요로감염과 신우신염은 열이 있는 경향이 있고 시간이 지나며 신장 기능 저하, 고혈압 및 신장질환과 관련될 수 있는 신장 흉터 형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생아의 요로감염은 종종 신장과 요로의 선천성 기형과 결과적인 균혈증과 관련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