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물리화학실험 보고서- 나노 반도체 입자의 분광학적 성질 실험보고서

목차

1. 서론

2. 시약 및 실험방법
1) 시약
2) 초자 및 기구 정리
3)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및 고찰
1) 실험 결과
2) 고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미셀:
계면활성제가 일정 농도 이상에서 모인 집합체를 일컫는다. 계면활성제가 물에 녹는 경우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소수성 부분이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닿는 표면을 형성한다.
미셀이 물에서 형성될 때, 기름과 같이 소수성 물질은 미셀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
화 되고 물에 녹게 되는데 이를 용해화라 한다
* 역미셀:
계면활성제가 유기 용매에 녹는 경우에는 물에서와는 반대로 친수성 부분이 핵을 형성하고 소
수성 부분이 유기 용매가 닿는 표면을 형성한다. 역미셀은 나노입자들이 뭉쳐서 침전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또한 첨가한 물의 양에 따라 역미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만들고자 하는 나노입자의 크기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중 략>

[2] 고찰
실험 과정 중 가장 첫 번째 단계인 역미셀 용액을 만드는 것에서부터 문제가 있는 것 같다.
이전에 같은 실험을 한 조와 이번 실험 시간에 w=10을 만든 조에게 조언을 구했을 때 모두 투명한 역미셀 용액이 만들어졌는데, 본인 조의 경우 w=5의 역미셀 용액을 만들었을 때 AOT를 heptane 용매에 완전히 녹이고 증류수를 첨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불투명한 용액이 완성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