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통증중재
1. 대상자에 따른 통증사정도구 종류와 내용 정리
2. PQRST를 활용한 예시
Ⅱ. 수술간호
1. 호흡과 기침법, 강화폐활량계 사용법
본문내용
1. 대상자에 따른 통증사정도구 종류와 내용 정리
① 숫자척도(numeric scale) : 성인, 의사소통이 원활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는 사람에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증측정도구다. 현재의 통증을 숫자로 점수화하게 되어 있으며, 통증이 없는 경우를 0점, 참을 수 없는 통증을 10점 기준으로 환자에게 물어 수치화한다.
②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 3세 이상 아동,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성인,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평가 척도로, 10cm 길이로 그어진 수평선 혹은 수직선 위에 대상자가 지각하는 주관적인 통증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③ 얼굴 통증척도(faces pain rating scale, FPRS) : 3세 이상 아동,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성인 그리고 노인 환자에게 적용한다. 환자에게 도구에 있는 얼굴 표정은 통증을 느끼는 정도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말한 후 자신이 느끼는 통증과 맞는 얼굴표정을 선택하도록 한다. 실제 자신이 울고 있지 않더라도 우는 얼굴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④ FLACC 척도(face-legs-activity-cry-consolability scale) : 3세 미만의 아동이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성인 환자에게 적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