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장애 인식 개선의 중요성
2. 장애인과 인권
3. 장애인에 대해 이해하고 올바르게 소통하는 방법
4.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것들
5. 장애 인식개선 교육 안내
본문내용
1. 장애 인식 개선의 중요성
*우리나라 장애인 현황과 세계 속 장애인 동향
*장애에 대한 올바른 표현
-장애의 정의 – 법에 의해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이라 정의
->보통 사람들은 장애인 마주칠시 장애 먼저 인식하게 됨 (장애는 특징일 뿐)
-우리나라 장애인 현황 – 등록된 수:254만명 (100명 중 5) -> 낮은 편
세계 15세 이상 장애 인구 비율 (약 19.4%)
<중 략>
3. 장애인에 대해 이해하고 올바르게 소통하는 방법
-장애 유형별 특성&사회적 인식
-신체적 장애
외부장애 – 지체장애 (상지/하지 기능의 장애)
-> 신체활동 불가(X) / 적절한 지원 통해 극복 가능(O)
뇌병변장애 (뇌의 손상으로 발생된 신체적 기능의 장애)
-> 지능이 낮을 것 (X) / 언어장애 동반하는 경우도 있음(O)
시각장애 (시력, 시야, 색각, 안구운동 등의 장애) 전맹20%/저시력80%
-> 직업이 한정적(X) / 보조기기로 극복 가능 (O)
청각장애(농)
->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한다(X) / 청력의 정도에 따라 다름(O)
언어장애 (언어 발달 느리거나/ 관련 기능의 장애)
-> 대화의 이해력이 낮다(X) / 특성상 발음 부정확하거나 속도 느림(O)
안면장애 (안면에 화상, 변형, 기형 등이 있는 상태)
-> 안면은 얼굴만을 의미(X) / 안면 포함 목, 목덜미 등을 포함(O)
내부장애 – 신장장애 (지속적 혈액/복막에 투석 받아야 하는 상태)
심장장애 (기능의 저하 및 장애 지속)
호흡기장애
간장애 (간기능 손상+합병증)
장루/요루 장애 (인공항문/배뇨관에 의존)
뇌전증 장애 (신체적 이상X, 갑자기 발작/경련 발생)
-정신적 장애
발달장애 – 지적장애 (지적/인지적 능력의 제한)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