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Ⅱ. 본론
1. 영화 소개
2. 비치료적 의사소통 분석을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재구성
Ⅲ. 결론
1. 느낌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체성 해리성 장애
(1) 정의
: 한사람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인격을 갖며, 한번에 한 인격이 그 사람의 행동을 지배하는 것을 말한다.
(2) 원인
: 대개 학대와같은 소아기 외상 경험과 연관되어있으며, 신체적 학대가 가장 흔하게 보고되는 아동기 외상이다.
(3) 발병
: 급격한 발병, 여자에게 잘 발병한다. 청소년기와 20대에 호발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여자보다 남자에게 발병이 잘되며, 성적학대, 정신적 외상, 신체적 폭행 등이 원인이된다. 첫 증상 후 진단이 내려지기 때지 걸리는 평균기간은 6~7년이다,
(3) 증상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들이 가지는 다중 인격의 수는 평균 5~10가지 정도이다. 성격간의 이동은 때로는 갑작스럽고, 드라마틱하게 이루어 진다. 환자들은 각각의 인격에서 경험한 것들이 일반적으로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다른 인격의 존재를 완벽하게 인지하기도 하고, 때로는 본인이 아닌 친구 같은 남으로 경험하기도 한다. 하나로 한 사람 안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감이나 인격 상태가 존재한다.
(4) 특성
– 한개인 내에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인격이 존재하고, 한 성격에서 다른 성격의 변화
– 지가에게 다른 인격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무관심
– 정체성의 변화는 환경의 급격한 자극이 있을 때 갑작스럽게 일어나며, 각각의 인격은 서로 모순이 되고 때에 따라 정반대 되는 성격을 지님
– 변화된 인격에서 원래의 인격으로 돌아갔을 때 그 동안 일을 기억하지 못함
– 해리성 장애의 다른 형태보다 예후가 나쁨
– 조기 발병일 수록 예후가 나쁘고 반이상이 만성 경과
(5) 진단
해리성 정체장애의 DSM-5 진단기준
A.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성격 상태로 특징지어지는 주체성의 붕괴가 나타나는데, 몇몇 문화에서는 빙의의 경험으로 보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