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수업)투문컨_알리와니노_투르크지역문화콘텐츠(1)_중간고사 대체 과제

목차

본문내용

1. 들어가며 – 소설의 영화화, 그리고 문화코드
소설의 영화화는 한국 뿐만 아니라 할리우드 등 세계각지에서 유행하는 현상이다.
대중으로부터 큰 사랑을 받은 소설을 원작으로 할때 2차 저작물로서의 영화 역시 성공할
가능성이 크고 실제로 성공한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공한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가 언제나 대중으로부터 사랑받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영화가 원작에 얼마나
반영하였는지, 원작자의 의도가 영화에 어느 정도 투영 됐는지, 연출자의 소설과 영화 각
매체의 특성에 대한 이해의 정도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소설의 내용만을 그대로
차용한다면 소설의 아류가 될 가능성이 크고 소설의 내용을 지나치게 각색한다면 원작의
감동을 느낄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는 원작을 얼마나 각색하는지의 문제이고, 전적으로
영화연출자의 몫이다. 그러나 영화의 연출방향이 어떠하던지 간에 소설을 관통하는
원작자의 메시지와 주제의식은 영화에서도 그 동일성을 유지해야한다.

<중 략>

4. <알리와 니노>에 나타난 문화코드를 중심으로 살펴본 소설과 영화의 비교
영화 <알리와 니노>는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되었으나 소설의 내용을 모두 다루지는 않고
있다. 이는 지면을 통해 사실상 장면 및 인물 묘사에 있어 한정이 없는 소설과 달리, 묘사에
있어 소설에 비해 시공간적, 기술적, 경제적으로 한계가 뚜렷한 영화의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화 <알리와 니노>는 소설과 달리, 감독의 작품의도에 따라
문화코드의 비중을 다소 다르게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하에서는 소설과 달리
영화에서 어떤 문화코드의 비중이 축소되었으며, 반대로 어떤 문화코드의 비중이
증가하였는지 살펴보고, 소설의 영화화를 통해 감독이 의도한 바가 무엇이며, 소설의
영화화가 갖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