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지역사회간호학 국내외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변화 보고서

목차

I. 서론
1.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II. 본론
1. 국내와 국외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및 정책의 변화

2. 국내·국외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비교내용
– 유사점 기술
– 차이점 기술

3. 향후 개선된 국내·국외 건강증진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수정해 야 할 점
– 향후 국내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개선점
– 향후 국외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개선점

III. 결론
1.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자아성찰 내용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1) 건강증진이란
건강증진이란 개인의 건강생활 실천능력의 재고뿐 아니라 법 · 제도 · 공공정책 등의 사회지원체계가 건강 친화적으로 구축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 국민건강의 패러다임이다. 건강증진의 개념을 정립하는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업목표를 중시하는 개념으로 미국의 Healthy People에 제시된 개념으로 건강증진은 개인들로 하여금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 또는 극대화 할 수 있는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돕는 지역사회와 개인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2) 보건의료정책이란
정책이란 앞으로 정치적 · 행정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마련한 방책이나 방침이며 사회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공식적인 의사결정을 의미한다.
「보건의료기본법」에 의하면 보건의료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 . 증진하기 위해 국가, 지방자치단체, 보건의료기관 또는 의료인 등이 행하는 모든 활동이다.
이에 보건의료정책의 광의의 의미는 인구집단의 건강상태를 유지,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부나 기타 단체들의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협의의 의미는 조직화된 노력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회복과 유지 · 증진을 도모하려는 국가와 사회의 목적달성에 귀결될 수 있도록 하는 데 허용되는 활동이다.
이러한 정의에 근거하여 보건정책을 다음 세 가지 분야로 구분하였다(문재우, 2013).

(1) 보건의료정책: 진단, 치료, 간호, 진료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이미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다.
(2) 예방정책: 백신, 검진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질병의 예방을 위한 활동, 보건정보와 교육 등의 건강증진 활동, 식수 · 음식에 대한 규제를 통한 건강보호 활동 등을 포함한다.
(3) 직제 간 보건정책(intersectional health policy): 직접 보건과 관련된 정책은 아니지만 교통안전정책, 건축규제, 고용정책, 농업정책 등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정책이나 복지정책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