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정의
2. 원인
(1) 조절 불가능한 위험요인
(2)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
(3) 기여요인
3. 증상
(1) 협심증
(2) 심근경색
본문내용
신체 각 부분이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려면 혈관을 통해 적절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아야 한다. 심장도 마찬가지로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다. 필요한 양을 공급받지 못하면 심장근육에 대사산물이 쌓이고 저산소증에 빠지게 되어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데 이러한 경우를 심근허혈이라고 한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질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이유는 주로 관상동맥의 동맥경화 때문이며 흡연, 스트레스, 비만 등이 위험요인이다.
▶정의
부적절한 관류상태로 인해 심근에 산소가 불충분해진 상태 또는 심근의 산소요구량과 산소 공급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질환
▶원인
(1) 조절 불가능한 위험요인
유전적 소인 : 가족력
40대 이상
남성이 여성보다 4배 이상, 경구피임약 복용 여성, 폐경이 빠른 여성
흑인
(2)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
도시>농촌
흡연(혈전 발생, 혈관 수축, 조직에 산소공급 저하)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고지혈증, 비만, 좌식생활, 운동부족
(3) 기여요인
당뇨, 공복 시 혈당>110mg/이
스트레스, 호모시스테인 수치
▶종류
허혈성 심질환에는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있다.
① 협심증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종류
(1)안정형 협심증 :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발생
병인 : 심근허혈 / 죽상경화증
특성 : 1~5분(20분 미만)간 지속되는 통증으로 촉진요인 제거 시 완화
EKG는 ST 분절 하강
휴식이나 NTG에 의해 완화
촉진요인 : 운동, 극한 기온, 감정변화, 과식, 흡연, 성생활, 자극제, 스트레스
(2)불안정형 협심증 :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갑자기 협착이 심해져 발생
병인 : 죽상경화반의 파열이나 미란과 이에 동반된 비폐쇄성 혈전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