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나트륨혈증

목차

1. 발생기전 및 분류
2. 임상증상
3. 치료
4. 3% saline

본문내용

1. 발생기전 및 분류
* water amount > sodium amount
: water 과잉 (ADH↑) or Na 결핍
① 수분보다 나트륨의 체외손실이 많은 경우 (Hypovolemic hyponatremia)
→ 이뇨제, 설사
② 수분의 증가가 나트륨의 증가보다 많은 경우 (Hypervolemic hyponatremia)
→ AKI/CKD, liver cirrhosis, heart failure
③ 수분의 증가만 있고 나트륨은 변화가 없는 경우 (Euvolemic hyponatremia)
→ SIADH. adrenal insufficiency, hypothyroidism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