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막하 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13개 간호과정 1개 (중환자실 실습)

목차

1. 대상자 요약

2. 문헌고찰(중환자실 실습)
1) SDH[경막하 출혈(혈종)]

3. 간호과정 적용사례(중환자실 실습)
1) 간호사정 – 환자 간호력
2) 간호사정 – 신체검진(중환자실 실습)
3) 간호사정 – 검사소견(중환자실 실습)
4) 간호사정 – 약물투여 기록(중환자실 실습)
5) 간호진단/문제목록
6) 간호과정 기록표(중환자실 실습)1

본문내용

대상자 요약

상기환자 DM 기저력 있으며 내원 당일 12시경 1m 사다리에서 떨어져 광주한국병원 내원하여 시행한 CT상 SDH소견 관찰되어 f/e 위해 본원 응급실 내원하였다.

대상자는 77세 남성으로 추가검진 후 최종적으로 T-SDH로 진단받았으며 치료를 위해 craniectomy 수술을 하였고 현재 제2중환자실에 입원해 있으며 의식 상태는 deep drowsy한 상태이다.

현재 대상자의 간호문제로는 복합 요인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불안, 과호흡 및 분비물 축적과 관련도니 비효과적 호흡양상/ 장시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침습적 처지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RBC, Hb, Hct 수치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뇌 손상과 관련된 체액 불균형의 위험/ 질병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약물과 관련된 간기능 장애의 위험/ 석고붕대 사용과 관련된 말초신경 혈관 기능 이상의 위험/ 복합 요인과 관련된 만성 혼동/ 신체보호대 적용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빈혈과 관련된 피로/ 의식수준변화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가 있다.
이 중 가장 우선적인 간호문제로는 낙상위험성을 골랐으며 그에 따른 간호중재를 실시하였다.

A. 문헌고찰(중환자실 실습)

SDH[경막하 출혈(혈종)]

경막(dura mater)
경막은 3겹으로 이루어진 뇌막의 한 층으로 뇌와 척수를
뇌막 중 가장 바깥에서 둘러싸고 있다.
연막이나 거미막이 투명하고 얇은 것에 비해 경막은 두 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투명하고 뇌막 중 가장 질기고 두껍다.

1. 정의
경막하 출혈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이라는 막의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놔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의해 파열되어 다량의 급성 출혈이 발생하여 뇌와 경막 사이의 경막하 공간(subdural space)에 피가 고여 뇌를 압박하는 상태로서, 흔히 뇌 실직의 좌상과 파열, 뇌내출혈을 동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