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응전실1 1주차(LPF HPF BPF BRF) 예비보고서

목차

1. LPF, HPF, BPF, BRF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 차단 주파수에 대해 설명하시오.
3. LPF, HPF, BPF, BRF에서 Q의 의미를 각각 설명하시오.
4. VCVS(전압 제어 전압 소스형) LPF와 HPF의 차단주파수를 각각 증명하시오.
5. Pspice를 이용하여 LPF실험을 시뮬레이션하고 표를 기입하시오.

본문내용

1. LPF, HPF, BPF, BRF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LPF(Low Pass Filter) : 저주파통과필터. 저역 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키며 차단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킨다. 적분기로도 불린다. 직류부터 차단주파수까지 통과하도록 설계한다.
2) HPF(High Pass Filter) : 고주파통과필터. 입력신호의 주파수 성분 중에서 차단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그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은 차단한다.
3) BPF(Band Pass Filter) : 대역통과필터. 원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는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는 차단한다.
4) BRF(Band Reject Filter) : 대역차단필터. 주파수 대역 외의 주파수는 통과시키고 대역 내의 주파수는 차단한다.

2. 차단 주파수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달함수 H의 크기가 최댓값의 70.71%로 떨어지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이다. 이때의 전력은 최댓값의 반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