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실습 선행시험 족보(A+인증)

목차

없음

본문내용

Haldol의 작용
– 도파민 경로에서 비선택적으로 도파민 수용체 차단
– 중뇌-피질 경로, 중뇌-변연계 경로가 약물의 치료작용을 중재하여 조현병 양성증상 감소
– 병명에 관계없이 대체로 정신병적 상태에서 나타나는 긴장, 흥분, 초조, 공격성, 파괴성, 과도한 불안, 편집증, 적대적 행동, 망상, 환각에 효과

Haldol의 부작용
– 도파민 경로에서의 도파민 차단으로 특징적인 부작용 발생
– 중뇌-피질 경로: 중피질계 일부에서의 도파민 활성 저하 작용> 음성 증상의 악화 및 인지기능 장애와 관련
– EPS, 추체외로 증후군★
: 1세대 항정의 과도한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에 의해 발생
: 근긴장이상, 좌불안석증, 가성파킨슨증, 지연성이상운동 등을 포함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