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불규칙 활용의 개념
2. 불규칙 활용의 원리
3. 불규칙 활용의 유형
4. 불규칙 활용의 실제
본문내용
1. 불규칙 활용의 개념
– 용언에서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는 것을 일컫는다.
– 일정한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변화가 생기는 것은 ‘규칙 활용 규칙 활용은 용언 활용 시 어간과 어미가 유지되거나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활용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 자음 동화 규칙, ‘으’ 탈락 규칙, ‘ㄹ’ 탈락 규칙, 모음조화 규칙’ 등이 있다.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어간, 어미 모두 형태 변화가 없는 활용
형태 변화가 있어도 보편적 음운 규칙으로 설명되는 활용
먹+어 → 먹어, 먹+고 → 먹고
모음조화
• 어미 ‘아/어’의 교체: 먹어, 잡아
규칙적인 탈락
• 어간 ‘ㄹ’ 탈락: 울+는 → 우는, 울+니 → 우니
• 어간모음 ‘ㅡ’ 탈락: 쓰+어 → 써, 치르+어 → 치러
’으로 처리한다.
2. 불규칙 활용의 원리
– 불규칙 활용은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국어의 어미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어미의 분류
예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고, -게, -지, -는, -니, -도록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어/아, -어서/아서, -었/았/였-
‘으’ 계열 어미
-(으)며, -(으)니, -(으)므로, -(으)려고
– 불규칙 활용이 일어나는 환경은 어미의 첫소리가 자음이 아닌 모음의 경우 한해서이다.
– ‘으’ 계열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낱말에 따라 달라지는데 어간과 결합할 때 ‘으’가 나타나는 경우에 한하여 불규칙 활용은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