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교수 방법도 포함하십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ⅰ – 지 말다
㉠ 의미 정보
㉡ 형태통사 정보
㉢ 화용 정보
㉣ 관련어 정보
㉤ 활동교수방법
ⅱ -지 못하다
㉠ 의미 정보
㉡ 형태통사 정보
㉢ 화용 정보
㉣ 관련어 정보
㉤ 활동교수방법
ⅲ -는군요
㉠ 의미 정보
㉡ 형태통사 정보
㉢ 화용 정보
㉣ 관련어 정보
㉤ 활동교수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분석해 보고, 선택한 문법 표현에 대한 활동 교수방법(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일기, 쓰기 등)도 포함하여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해 생각하여 기술해 보겠습니다.

2. 본론
선택한 문법 표현은 ‘-지 말다’, ‘-지 못하다’, ‘-는군요’ 입니다.

(가) – 지 말다

㉠ 의미 정보
– 어떤 행위의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
–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함을 나타낸다. 다른 사람의 행위를 금지할 때 주로 사용.
예시) 여기에 주차하지 마십시오.
휴지를 버리지 마세요.
매운 음식을 먹지마세요.

㉡ 형태통사 정보
–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와 관계없이 ‘-지말다’를 쓴다.
예시) 먹 + 지 말다 = 먹지말다
찾 + 지 말다 = 찾지말다
– 받침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예시) 받침이 있으면, ‘-지말다’ : 먹지 말다, 찾지 말다, 만들지 못하다
받침이 없으면, ‘-지말다’ : 가지 말다, 만지지 말다, 공부하지 못하다

<중 략>

㉠ 의미 정보
–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대해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 (동사나 형용사, ‘이다, 아니다’에 붙어) 말하는 사람이 보거나 들음으로써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대해 주목함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흔히 감탄의 뜻을 가짐
예시) A : 영수는 학교에 몇 시에 와요? B : 영수는 8시에 와요. A : 정말 일찍 오는군요.
A : 이 음식 정말 맛있겠군요. B : 제가 지금 만들었어요. 한번 드셔보세요.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