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진단명: Acute tonsillitis 급성 편도염
2. 원인 또는 유발요인
3. 주 증상 및 주요 검사 소견
4. 진단 방법
5.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환
6. 치료
7. 합병증 및 예후
8. 참고문헌
Ⅱ. 사례보고서
A.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병력
4. 신체사정
5. 영양과 대사 양상
6. 배설 양상
7. 활동과 휴식 양상
8. 역할/관계 양상
9. 스트레스 대처능력
10. 발달사정(DDST)
11. 검사결과
12. 투여 약물
B. 간호 진단
1. 간호 문제 목록
2. 간호진단
C. 간호과정
#1 고체온
#2 급성 통증
#3 영양불균형
#4 비효과적 호흡 양상
D.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진단명: Acute tonsillitis 급성 편도염 편도는 인두강에 위치한 림프조직으로, 병원체를 여과하고 항체를 형성함으로써 병원체의 상기도 침범을 막는다. 급성 편도염은 이러한 편도를 구성하는 설편도, 인두편도, 구개편도 중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이다. 편도조직이 염증과 함께 충혈되고 비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림프조직이 많고 상기도 감염이 빈발하는 어린 아동에게 흔하며,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2. 원인 또는 유발요인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A군 β 용혈성 연쇄상구균이며, 이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인 바이러스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있다.
피로, 저온 또는 고온에 노출, 상기도 감염, 면역질환 등이 유발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 아동 또는 청년기나 젊은 성인에서 호발한다.
※ 대상 환아는 비강도말검사 상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아데노바이러스가 검출됨
3. 주 증상 및 주요 검사 소견
급성 편도염의 증상으로 인후통, 발열, 기침, 오한, 두통, 근육통, 전신권태 등이 있다. 이외에도 염증으로 비대된 편도가 공기나 음식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연하곤란,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시진 시 비대된 편도, 인두의 염증, 목젖 및 구개의 발적과 부종 등이 관찰되며, 편도가 삼출물로 덮여있기도 한다. 촉진 시에는 경부 림프절이 비대되어 멍울이 만져지고 압통을 동반한다. 혈액검사 결과에서 ESR과 WBC 수치가 증가한다.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일 시, 항연쇄상구균용혈소 O 항체치 항연쇄상구균용혈소 O 항체치: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생성하는 독소인 스트렙토라이신에 대항하는 항체의 수치
(ASO Titer)가 증가하며, 인후 배양검사에서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양성으로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